분류 전체보기 47

마르코프 결정 프로세스(Markov Decision Process)

강화학습(RL)에서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는 마르코프 결정 프로세스의 기본 개념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마르코프 프로세스(MP) $$MP\equiv(S,P)$$ ■전이확률 : 상태s에서 다음 상태s'에 도착할 확률 $$P_{ss'}$$ ■마르코프 성질: 미래는 오로지 현재에 의해 결정된다 $$\mathbb{P}[s_{t+1}|s_{t}]=\mathbb{P}[s_{t+1}|s_{1},s_{2},...,s_{t}]$$ ■마르코프 리워드 프로세스(MRP) : MP에 보상 개념 추가 R: 보상함수, G:리턴, γ: 감쇠 인자 $$MRP\equiv(S,P,R,\gamma)$$ $$R=\mathbb{E}[R_{t}|S_{t}=s]$$ $$G_{t}=R_{t+1}+\gamma R_{t+2}+\g..

datascience/RL 2021.04.23

미국 10년물 채권 상승이슈

2021년 상반기에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및 한국 증시에 타격이 갈 것이라는 것이 이슈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의 채권 금리가 어떻게 인플레이션과 한국 증시와 연관되는 걸까?  # 데이터 불러오기from pandas_datareader import data as pdrimport yfinance as yfyf.pdr_override()tlt = pdr.get_data_yahoo('TLT', '2011-04-18')kospi = pdr.get_data_yahoo('^KS11', '2011-04-18')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matplotlib as mpl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matp..

카테고리 없음 2021.04.21

yfinance를 활용한 코스피와 S&P500지수 비교

한국의 대표 주가지수인 KOSPI와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인 S&P500 지수 데이터를 불러와서 비교해보자 yfinance모듈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불러오자. 기간은 2011년 4월 18일부터 현재까지 약 10년 동안의 데이터를 불러왔다. 기준은 종가(Close)이다. from pandas_datareader import data as pdr import yfinance as yf yf.pdr_override() sp = pdr.get_data_yahoo('^GSPC', '2011-04-18') kospi = pdr.get_data_yahoo('^KS11', '2011-04-18') import pandas as pd df = pd.DataFrame({'SP500':sp['Close'], 'KOSPI':ko..

Github repository에 신규 파일 업로드하기

코딩을 하다보면 버전 및 파일 관리를 하기 위해 Github라는 것을 많이 사용한다. 예전부터 나도 코딩에 좀 더 익숙해지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이해가 쌓인다면 Github를 사용해야지 하는 생각을 해왔다. 사실 본격적으로 사용해 보기 전에는 repository를 만들어 보는 정도만 해보았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처럼 단순하게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하는 방식인줄 알았다. 하지만 왠걸 Git이라는 프로그램을 따로 다운 받아서 이를 매개로 local(내컴퓨터)과 remote(Github) 파일을 관리한다. 거기다가 이러한 과정들이 코딩으로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놀라웠다. 이번 글에서는 작업한 파일을 깃허브 repository에 올려보는 것에 대해 정리해보고자한다. 먼저 Git을 다운 받아야 한..

programming/Git 2021.04.16